등반 기술과 장비/등산강사 2급

등산로프의 종류와 관리

토클 2023. 9. 18. 23:43
728x90

I. 등반의 기초 - 등반교육

  • 개요
    • 등반 vs 등산 : 도보로만 오르는 행위는 등산,
      손을 쓰기 시작하는 시점부터는 등반(登攀. 오를 '등', 잡을 '반')
    • 등산장비는 고도극복, 등반장비는 각도극복을 위한 도구
  • 성인교육의 특징
    • 학습의 주체가 되고 싶어함. 자기주도학습. 질문을 통해 스스로 생각하게 하라
    • 미래보다는 즉각적인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호
    • 자아존중감, 삶의 질 향상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 피교육자의 의도를 파악 - 체험, 매니아, 전문가 트랙
    • 성인교육의 아버지 (Maicolm S. Knowes)
  • 교육의 유형
유형 개념 특징
형식적 학교교육 공인, 국가에서 인정
비형식적 학원, 평생교육 등산교육
무형식 사회, 가정, 직장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멘토링

 

  • 강사 vs 가이드
    • 강사 :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기술 및 교육의 본질 추구
    • 가이드 :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이 가고싶은 곳의 체험 및 기능 추구

 

II. 등산로프의 종류와 관리

  • 로프의 역할과 구조
    • 로프는 추락자를 보호하고, 추락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한 등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장비
    • 초기의 천연섬유 로프는 신축성이 없고 약하며 무겁지만,
      2차 세계대전 중 이를 개선한 나일론을 꼰 로프가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나일론 직조로프로 적당한 신축성, 부드러움, 우수한 강도를 지님
     

 

  • 로프의 종류
    • 동적로프 : 6~7% 신장률을 지니고 있어 추락 시 충격흡수가 우수하여 암벽등반 용으로 사용됨
    • 정적로프 : 신장률이 2~3%에 불과해 잘 늘어나지 않아,
      구조용, 동굴탐사용, 원정등반의 고정로프 등으로 사용되며
      주로 단일색상으로 동적로프와 구별됨
    • 싱글로프 : 가장 튼튼하며 등반 시 단독 로프로 사용될 수 있음.
      8.9~11㎜ (자일 끝에 숫자로 '1'로 표시) 
    • 더블로프(Double or Half Rope) : 매우 거칠고 긴 루트에서 이중로프 테크닉을 구사할 때 사용.
      8.5 ~ 9㎜, 80~90m 길이. Matching Pairs.
    • 트윈로프 : 더블로프보다 더 가늘며 반드시 짝을 맞춰 사용해야 하고,
      각 보호장비에 함께 고정 (7.5~8.5㎜)
    • 방수로프 : 젖은 로프는 얼어붙게 되고 강도도 떨어져,
      실리콘이나 테프론 코팅처리를 한 로프로
      일반로프에 비해 마모가 적고, 자외선 차단효과도 있음
  • 로프의 성능검사
    • UIAA (국제산악연맹)의 인증한 것을 써야 하며, 로프테스트는 강도, 충격, 신장도 검사 등을 실시함
    • 강도
      -  10.0 ~ 11.0㎜ 싱글로프의 경우, 2.8m 로프에 80㎏ 추를 달아 연속 5회,
      5m 아래로 떨어뜨려 끊어지지 않아야 함 (1차 추락 시, 충격력 < 1,200㎏)
      -  더블로프(8~9㎜)의 경우, 55㎏ 추를 달았을 때의 충격력 < 800㎏
    • 신장도 : 80㎏추를 로프에 매달았을 때, 한줄 로프는 8% 미만, 두줄로프는 10% 미만 늘어나야 함
  • 로프의 관리
    • 손상요인 : 흙과 먼지, 열, 자외선, 산성비 등
      -  로프를 밟으면 흙과 먼지 입자가 로프에 파고 들어 손상유발
      -  로프는 나일론으로 만들어져 열에 취약, 하강 시 속도는 느릴수록 좋음
      -  자외선에 약해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새 로프라도 오래된 것은 파기
      -  산성비에 약하므로 비에 젖었을 때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세척
      -  추락 시, 충격을 받은 로프가 원상태로 돌아가는 데는 약 10분 이상의 여유가 필요
    • 로프수명 : 매일 사용 시 1년, 매주 사용 시 2년, 가끔 사용 시 4년.
      구입시기보다는 생산시기와 보관방법, 충격 등에 영향을 받음
      단 오래되지 않았더라도 큰 충격을 받은 로프는 파기해야 함
    • 세탁과 보관 : 연성세제로 미지근한 물에 세탁한 후,
      깨끗한 물에 헹궈 그늘진 곳에서 완전히 말리고,
      보관 시 매듭을 풀고 느슨하게 사려 직사광선이 없는 시원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
  • 로프 사리기
    원형 사리기(Mountaineer's Coil)는 로프가 꼬이고 엉키는 단점이 있어,
    버터플라이(Bufferfly Coil) 사리기가 시간도 빠르고 휴대도 간편
  • 런너 (Runner) = 슬링 (Sling)
    • 웨빙(Webbing, 테이프슬링)
      -  나일론을 테이프 형태로 납작하게 짠 것으로 1.5 ~ 2.5㎝폭 정도를 사용.
      -  최소강도 > 22kN, 같은 굵기의 로프보다 우수하지만 충격 시 잘 늘어나지 않아 등반용 줄로 사용불가
      -  기존 암벽코스 확보지점에 걸려있는 런너는 오랫동안 자외선에 노출되어
      강도가 매우 약하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말자
    • 코드슬링
      -  3~9㎜ 원형구조의 나일론 코드.
      로프 강도에 미치지 못해 등반자의 추락충격이 전달되는 곳에 사용불가
    • 퀵드로(Quickdraw)
      -  웨빙에 바텍 박음질을 해 양쪽에 카라비너를 걸 수 있는 고리를 만들어 놓은
      런너의 일종으로 확보물과 로프를 안전하게 연결하는 도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