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 기술과 장비/등산강사 2급

암벽등반 스타일, 윤리 및 등급체계

by 토클 2023. 9. 19.
728x90

인공등반과 자유등반, 그리고 등반의 윤리

 

  • 자유등반 (Free Climbing)
    • 오직 인간의 기술과 힘만으로 암벽을 올라가는 것으로
      인공적인 보조물(퀵드로, 하켄, 너트, 프렌드 등)을 사용하되 그것에 의지하여 쉬거나 전진할 수 없으며
      이런 보조수단은 오로지 등반자의 안전을 위해 확보물로만 사용하는 등반형태
    • 맨손으로 바위를 타는 것으로
      아무런 장비 사용없이 암벽을 올라가는 것으로 오해되기도 쉬우나
      결코 안전에 대한 고려없이 올라 간다거나 아무런 장비도 사용하지 않고 등반하는 것을 뜻하지는 않음
    • 사용장비 : 로프, 암벽화, 퀵드로, 안전벨트, 확보줄, 초크백 등
    • 난이도 : 요세미티 등급 체계 (5.0 ~ 5.15)를 따름

 

  • 인공등반 (Aid Climbing)
    • 인공적인 등반장비를 이용하여 등반하는 형태로
      하켄 , 너트, 프렌드 등을 이용하여 의지하거나 전진하는 형태로서
      주로 거벽등반에서 많이 쓰이는 방식
    • 사용장비 : 자유등반 장비 외에 인공등반용 신발, 주마, 헤머, 도르레, 장갑, 피톤, 캠, 피피훅 등
    • 난이도 : A0 ~ A5로 표기
  • 등반윤리
    • 타 산악회나 클라이머들이 얻고자 하는 즐거움이나 가치에 대해
      방해하거나 서로 간섭하지 않아야 하며, 이는 서로의 등반에 대한 존중임
    • 개척한 루트의 원형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닥터링이나 무분별한 볼팅작업은 금지. 크랙 등반 시, 캠이나 프렌드 같은 회수가능한 장비를 사용
    • 각 지역 및 나라 별 클라이밍 스타일과 문화 존중
    • 암벽장에서 부득이하게 앞지르기 시 양해를 구해야 하며 서로 양보해야 함
    • 루트 개척자에 대한 감사한 마음으로 등반

 

 

암벽등반 등급체계 및 암벽등반 스타일

> 암벽등반 등급체계 및 암벽등반 스타일

  • 1920년 독일의 벨첸바하가 숫자로 등급체계를 나타냈고,
    영국이 알프스 등반루트 비교를 위해 형용사를 써서 체계를 만듬.

    이것이 UIAA 등급체계의 기초가 됨
    (E: Easy, M: Moderate, D: Difficult, VD: Very Diff, HD: Hard Diff, S: Severe, HVS: Hard Very Severe, E: Extremely, ...)

 

  • UIAA 등급체계 (로마숫자 6단계로 표현)
    I      쉽다 (Easy)
    II     보통이다 (Moderate)
    III    조금어렵다 (Moderately Difficult)
    IV    어렵다 (Difficult)
    V     아주어렵다 (Very Difficult)
    VI    굉장히어렵다 (Extremely Difficult)

 

 

  • 요세미티 등급체계 (YDS : Yosemite Decimal System)
    1937년 벨첸바하 등급체계를 수정하여 시에라 클럽에서 만든 체계를,
    1950년 기술등반을 더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5급에 십진법 숫자를 더한 등급체계를 정의

    루트의 지형특징에 따라 필요한 기술과 장비의 수준 별로 구분한 것이 특징

 

 

세계 등반등급체계

세계 등반등급체계 Climbing Grading Systems in the World   1. 머리말 등반가들은 모든 종류의 ...

blog.naver.com

 

  • 암벽등반 스타일
    • 온사이트 (On Sight) : 첫눈에 오르기. 루트 사전지식없이 첫 번째 시도에 추락없이 자유등반
    • 플래싱 (Flashing) : 한번에 오르기. 루트에 대한 사전정보를 얻은후
      첫시도에 추락없이 자유등반 또는 다른사람 등반을 본 후 바로 시도하는것도 플래싱
    • 레드포인트(Red Point) : 두눈에오르기. 미리 경험해본 루트를 추락없이 등반
    • 마스터 (Master) : 연습 후 오르기. 연습 후 추락없이 등반. 레드포인트와 같은 개념입니다.
    • 핑크포인트 (Pink Point) : 확보물걸어 놓고 오르기. 미리 확보물을 걸어놓은 다음 추락없이 등반
    • 요요잉 (Yoyoing) : 다시오르기. 완등하지 못하고 다시내려와 휴식한 후 다시오름
    • 행도깅 (Hang Dogging) : 매달린 후 다시오르기. 확보물에 매달려서 휴식한 다음 오름
    • 톱로핑 (Top Roping) : 윗줄오르기. 완료지점에 로프를 미리걸어놓고 확보를 받으며 오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