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 기술과 장비

대한산악연맹 등산강사 2급, 동계과정

by 토클 2023. 8. 31.
728x90

2018년 대한산악연맹에서 실시하는 등산강사 하계 자격검증 과정을 통과하고 바로 이어서 동계과정을 신청했다.

등산강사 동계 과정 실기를 준비하며 주요 실기 평가 포인트를 정리한 내용이다.

 

대산연의 등산강사 2급은 하계와 동계 과정 모두 검증을 통과해야 자격증이 주어진다.

 

지금은 시간이 흘러 평가 포인트가 조금 다를 수도 있지만

동계과정에서 실시되는 설상과 빙벽 등반기술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실기 평가 주요 포인트

동계연수과목
실기 평가 항목
준비물
비 고
설상등반기술
· 설상등반기술
· 안자일렌
· 설상 확보
· 활락 정지
설상등반에 적절한 복장
배낭, 점심용행동식, 
헬멧, 안전벨트, 카라비너,
슬링, 확보하강기, 픽켈
 대산련<등산>교재
 285p~297p 내용에 대한
 각 항목별 기술 실기평가
빙벽등반기술
· 프렌치 테크닉
· 수직 빙벽등반기술
· 빙벽에서의 확보물 설치
빙벽등반에 적절한 복장, 배낭
헬멧, 안전벨트, 카라비너,
슬링, 확보하강기, 스크류
퀵드로, 바일2, 크램폰
 대산련 <등산>교재
 321p~338p 내용에 대한
 각 항목별 기술 실기평가 

 

설상등반기술

  • 설상등반기술
  • 개요
    크램폰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서 동계등산화(빙벽화)와 피켈을 이용한 오르기 및 내리기 기술 평가
  • 주요 포인트
    • 피켈 파지법을 이해하고 있는가?
      완사면에서 지팡이식(삐올레 깐느)으로 피켈을 파지하고 피켈은 상시 설사면 위쪽 방향에 위치해야 함.
    • 설상면 오르기 시, 피켈 파지방법, 킥스텝을 이해하고 있는가?
      • 설상면을 오를 때는 삐올레 깐느로 피켈을 설상면 위쪽으로 위치시키고 킥스텝으로 발자리를 만든 후 진행함
      • 방향 전환 시, 발은 팔자모양(삐에 당 까나르)로 만들고 피켈은 말뚝자세(삐올레 망쉬)로 파지함
      • 경사도에 따른 피켈 파지 방법 및 발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가?
    • 설상면 하산 시, 플런지 스텝을 이해하고 있는가?
      • 설상면 하산 시, 완경사와 눈에 크러스트가 어느 정도 형성된 경우 플런지 스텝을 이용해 과감하게 발 뒷꿈치를 찍으며 하산하고 픽켈은 삐올레 깐느 방식으로 균형을 잡으며 내려옴
    • 추락 시, 자기확보 기술을 이해하고 있는가?
      피켈을 삐올레 망쉬로 잡고 눈 속에 깊이 박아 넣어 추락을 막는다.
  • 안자일렌
    • 안자일렌 로프 처리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고, 등반자 추락 시 나머지 등반자들의 자기확보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 지 확인
    • 주요 포인트
      • 안자일렌 시, 로프 원형사리기의 길이는 적정한가?
        • 한쪽 팔을 반을 접어 목과 팔뚝을 이용해 로프를 3~4회 원형사리기하면 적당한 길이가 됨
      • 원형사리기 후, 매듭법을 이해하고 있는가?
        • 원형사리기 후, 뒷자를 이용해 옭매듭 하고 매듭으로 생긴 고리를 카라비너를 이용해 빌레이 루프로 고정해야 로프가 풀리거나 추락 시 로프가 몸을 조이지 않도록 방지
      • 매듭 후, 확보자의 앞과 뒷자에 모두 푸르직 매듭을 하여 추락 시, 탈출을 대비하고 있는가?
        • 안자일렌 등반 시, 등반자 간 로프는 바닥에 살짝 깔릴 정도로 팽팽함을 유지해야 함
      • 추락 발생 시, 나머지 등반자는 추락방향으로 모두 피켈을 이용해 자기확보를 하고 있는가?
  • 설상확보
    • 부트-액스 확보
      • 부트-액스 확보를 위한 피켈 설치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가?
      • 확보 전, 발 자리의 눈을 확실하게 다져 확보자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가?
      • 양 발의 위치 처리는 적절한가?
      • 피켈을 통과한 로프의 처리 및 추락 시, 제동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가?
    • 카라비너-액스 확보
      • 피켈 설치방법은 부트-액스 확보와 동일
      • 슬링을 피켈에 연결할 때 거스히치로 매듭을 하는가?
        • 60cm 슬링을 두 번 겹쳐 거스히치 매듭을 하면 빙벽화로 밟을 수 있는 적당한 길이가 됨
        • 카라비너에 로프를 통과한 다음, 확보자 안전벨트에 연결된 잠금비너에 로프를 통과시켜 로프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가?
        • 추락 시, 로프의 제동 방향을 이해하고 있는가?
  • 활락정지
    • 개요: 설상면에서 다양한 추락 상황 시, 피켈을 이용한 활락정지 기술
    • 주요 포인트
      • 머리 위치 (사면 위/아래), 얼굴 방향(하늘, 바닥) 별 활락정지 기술
      • 제동 시, 크램폰 착용유무에 따른 발 처리 방법
  • 프렌치 테크닉
    • 설빙벽의 경사도에 따른 손과 발쓰기 기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지 평가
    • 주요 포인트
      • 손(피켈) 쓰기와 발쓰기의 맵핑
      • 완경사에서는 삐올레 깐느 방식으로 진행하고 경사에 따라 삐에 마르쉬(행진하듯이), 삐에 당 까나르(오리발 모양), 삐에 다 쁠라 (평행) 방식으로 진행
      • 45~55도 정도의 경사에서는 삐올레 라마스와 삐에 다 쁠라 방식으로 진행
      • 더 가파른 경우, 삐올레 앙끄르와 삐에 다 쁠라 방식으로 진행
      • 65도 보다 더 가파른 경우에는 한발은 프런트 포인팅과 플랫 방식을 함께 쓰는 쓰리 어클락 방식을 사용하고, 피켈은 삐올레 트락시옹 방식으로 진행
      • 하산 시, 삐올레 람쁘, 다씨, 아쀼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지 확인
        • 삐올레 람쁘: 피켈을 멀리 박은 후, 샤프트의 끝부분을 살짝 들어주면 보다 피크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내려오면서 샤프트를 계단의 난간을 잡듯이 미끄러지며 헤드부분까지 내려오고, 다시 피켈을 회수 해 앞쪽으로 박음

 

빙벽등반 기술

  • 빙벽에서의 확보물 설치
    • 스크류 설치
      • 스크류 설치 위치 및 빙질에 따른 스크류 설치 각도
      • 빙질이 양호한 경우, 아래 방향으로 20도 각도로 설치 시 강도가 더 좋음
      • 빙질이 불량한 경우에는 윗 쪽으로 10~15도 설치
    • 아발라코프 V자관통 앵커 설치
      • 앵커의 정확한 명칭을 숙지하고 앵커의 사용 용도 설명
        • 정식명칭: 아발라코브 V자관통 앵커
        • 용도: 확보물이 없는 하강 시에 주로 사용
        • 강도: 900 ~ 1400 Kg
      • 앵커 설치 전, 바일을 이용해 스크류 설치할 위치를 미리 다진다 (10도 아래 방향으로)
      • 한쪽 스크류 설치 후 제거하지 말고 반대편 스크류를 설치해야 성공율이 높다
      • 스크류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각각 60도 방향에서 들어가게 설치하고 스크류 간 간격은 15~20cm가 적당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