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 기술과 장비/등산강사 2급

지도에서 사용되는 기준

by 토클 2023. 9. 18.
728x90

지도에 사용되는 기준들

 

  1. 위치의 기준
    • 좌표 : 지도 상에서 지구표면의 어느 한 지점의 위치를 지시하거나 지시된 지점을 발견하는데 편리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설정한 가상의 선. 좌표법은 군사용으로 주로 사용
    • 경도/위도 : 지구 상의 각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지시하거나 발견하기 위한 것으로 남/북선(위도), 동/서선(경도)으로 나타냄
      - 경선 (자오선) : 영국 그리니찌 천문대를 기준경선(본초자오선, 0º)으로 동/서로 각각 180등분. 1º=87.6㎞
      - 위선 :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을 각각 90등분한 것으로 북쪽을 북위, 남쪽을 남위라고 함. 1º=111
  2. 높이의 기준
    •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을 0m 기준으로 사용 (수준원점은 인천 인하대 내에 위치. 실제높이는 26.6871m)
    • 제주는 제주만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사용
  3. 위치와 높이의 새로운 기준
    • 우리나라는 1841년 독일의 벳셀(Bessel)이 만든 좌표체계로 지구표면을 여러 개의 타원모양으로 펼쳐 2차원으로 변환한 것을 사용
    • 높이의 기준은 각 나라나 지역마다 그곳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정밀하지 않고 전세계가 같은 기준으로 쓸 수 없는 단점이 있음
    • WGS (World Geodetic System) 84
      - 지구질량의 중심에서 중력이 '0'이 되는 등중력면을 지구표면의 위치와 높이의 기준으로 설정 (세계측지측량연맹)
      - WGS84 좌표체계는 인공위성과 교신하며 GPS를 이용해 정확한 자기위치와 방향을 식별할 수 있어, 자동차, 선박, 항공 등에 활용
  4. 축척
    • 실제 지형의 크기를 지도로 축소시켜 놓은 비율로, 도상거리와 지형거리와의 비율을 말함
    • 등산에 사용되는 지도의 축척은 1:25,000과 1:50,000로 국립지리원에서 발간
      : 1:25,000 지도에서 도상거리가 4㎝의 실제거리 = 25,000 * 4 = 1
  5. 방위각
    • 방위(방향문자) : 어느 한 지점을 기준으로 할때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문자. 동서남북(4방위), 8/16/32방위법
      * 방향 : 특정 지점에 위치해서 직접 가리켜서 알려 줌
    • 방위각 : 임의의 기준점에서 기준방향(북쪽)을 기준으로 측정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각 (360도각법)
  6. 북쪽의 종류
    • 진북 (T : True North, ★로 표기) : 지구 자전축을 기준으로 모든 자오선(경도선)이 모이는 북극점 방향 (북극성은 자전축에서 약간 벗어나 있음)
    • 자북 (M : Magnetic North, 직각삼각형으로 표기) :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독도법에 주로사용. 매년 일정하지 않음 (캐나다 북쪽 허드슨만 부근)
    • 도북 (G : Grid North, △로 표기) : 평면직각좌표의 북쪽 방향. 지도의 북쪽은 '진북' 방향임
      • 경위도 자표를 평면직각좌표로 변환(Projection)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음
      • Mercator 기법 : 진북 = 자북, 방위각 계산이 용이해 해도 주로 사용
      • TM투영법 : 방향 왜곡이이 없어 육도에서 주로 사용 (대포 쏘기가 용이)
    • 편차각 : 진북, 자북, 도북 간 편차
      • 도편각 : 진북을 기준으로 도북의 기울기 정도
      • 자편각 : 진북을 기준으로 자북의 기울기 정도
      • 도자각 : 도북을 기준으로 자북의 기울기 정도

 

※ 참고

지도상에서 운행소요 시간 계산

 

독도법 ㅡ 지도상에서 운행 소요시간 계산하기

지도상에서 운행 소요시간 계산하기 등산의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산행하고자 하는 대상산과 루트 그리고 ...

blog.naver.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