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이론 지도능력 발표주제
알피니즘 | |
1 | 알피니즘의 정의와 태동 |
2 | 머메리즘과 등로주의, 등정주의 |
3 | 알프스 등반의 황금시대와 철의시대 |
4 | 극지법과 알파인 스타일, 슈퍼 알피니즘 |
등산입문 | |
5 | 체온관리 |
6 | 효과적인 보행법, 페이스 조절 |
7 | 직물의 종류와 장단점, 용도 |
8 | 레이어링 시스템 |
9 | 식량계획과 6대 영양소 |
10 | 야영기술과 비박의 원칙과 요령 |
11 | 짐꾸리기와 올바른 배낭 착용법 |
독도법 | |
12 | 지도에 사용되는 기준 - 축척/높이/방위각/북쪽의 종류 |
13 | 등고선 - 정의, 종류, 지형의 특징 |
14 | 자편각 수정과 자북선 긋기 |
15 | 지도 정치와 방위각 측정 |
산악안전 | |
16 | 리더의 역할 |
17 | 산의 자연적인 위험과 인위적인 위험대책 |
18 | 체감온도와 저체온증 |
등반의 기초 | |
19 | 등산에 사용되는 로프의 종류와 관리 |
20 | 안전벨트의 종류와 착용법, 간이 안전벨트 만들기 |
21 | 카라비너의 종류와 강도 |
22 | 여러가지 8자 매듭법과 유의사항 |
23 | 보울라인 매듭, 클로브히치 매듭 |
24 | 인공등반과 자유등반, 그리고 등반의 윤리 |
25 | 암벽등반 등급체계와 등반스타일 |
2. 실기 지도능력 발표주제
등반의 기초 | |
1 | 자기확보와 확보자의 자세 |
2 | 등반신호 |
3 | 신체를 이용한 확보 |
4 | 기구를 이용한 확보 |
5 | 직접확보와 간접확보 |
6 | 기구를 이용한 하강법 |
7 | 하강로프의 설치와 회수 |
암벽등반기술 | |
8 | 암벽등반에 사용되는 기본동작과 자세 |
9 | 슬랩 등반기술 |
10 | 손 홀드의 이용법 |
11 | 발 홀드의 이용법 |
12 | 레이백과 스테밍 기술 |
13 | 째밍 기술 |
확보물 설치 | |
14 | 확보지점의 균등 연결법 |
15 | 추락계수 |
16 | 자연 확보물의 종류와 이용방법 |
17 | 스프링 장착 캐밍기구(SLCD)의 종류와 설치기술 |
18 | 확보시스템의 방향성과 대책 |
19 | 수직/수평크랙에서의 다중방향 확보지점 만들기 |
20 | 확보물 - 퀵드로의 연결과 로프 클립기술 |
21 | 잠재추락거리, 확보물 설치시기와 간격 |
728x90
'등반 기술과 장비 > 등산강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어링 시스템과 직물의 특징 (1) | 2023.09.18 |
---|---|
효과적인 보행법과 페이스 조절 (1) | 2023.09.18 |
체온관리 (0) | 2023.09.18 |
극지법과 알파인 스타일, 슈퍼 알피니즘 (2) | 2023.09.17 |
알피니즘의 정의와 역사 (1) | 2023.09.17 |